반응형 웹26 [ Spring ] @Autowired, @Resource, @Inject 차이점 아주 쉽게 정리 @Autowired란?Spring 실행 시점 의존 관계 주입을 위해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그렇기 때문에 Spring FrameWork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타입을 기준으로 의존 관계를 주입합니다. @Resource란?Java에서 만든 의존 관계 주입을 위해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이름을 기준으로 의존 관계 주입합니다. @Inject란?Java에서 만든 의존 관계 주입을 위해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타입을 기준으로 의존 관계를 주입합니다. ↔️ @Autowired @Resource @Inject 비교3가지의 어노테이션 모두 의존 관계 주입을 위한 어노테이션입니다. 하지만, @Autowired의 경우에는 Spring 어노테이션이며,@Resource, @Inject의 경우에는 Java 어노테.. 2024. 10. 16. [ React ] Cannot read properties of null (reading 'map') 오류 원인 및 해결 방법 💥 Chrome 개발자 도구에서 발생한 에러 메시지Uncaugh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null (reading 'map') ❓에러 발생 이유현재의 오류 메시지는 null 타입의 변수를 대상으로 map 메서드를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오류 메시지입니다. 👉 React의 렌더링 흐름아래 코드에서 console.log를 통하여 users를 출력해 보겠습니다.import Reac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function UserPage() { const [users, setUsers] = useState(null); useEffect(() => { fetch("https://jsonplaceholder.typi.. 2024. 10. 14. [ React ] Uncaught TypeError: users.map is not a function 오류 해결 방법 💥 Chrome 개발자 도구에서 발생한 에러 메시지Uncaught TypeError: users.map is not a function ❓에러 발생 이유JavaScript의 map 메서드는 Array 타입의 변수를 대상으로 실행되는 함수입니다.하지만 Array 타입이 아닌 자료형의 변수를 대상으로 해당 메서드를 사용할 경우에 나타나는 오류 메시지입니다. 👉 React의 렌더링 흐름아래 코드에서 console.log를 통하여 users를 출력해 보겠습니다.import Reac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function UserPage() { const [users, setUsers] = useState(""); useEffect(() => { fetc.. 2024. 10. 14. [React] Warning: Encountered two children with the same key 오류 해결 방법 🚨 Chrome 개발자 도구에서 발생한 에러 메시지Warning: Encountered two children with the same key, `1`. Keys should be unique so that components maintain their identity across updates. Non-unique keys may cause children to be duplicated and/or omitted — the behavior is unsupported and could change in a future version. ❓에러 발생 이유React 엘리먼트 혹은 React 리스트 엘리먼트에서 key 값의 중복이 발생하게 되면서 나타나는 에러 메시지입니다.React는 엘리먼트를 렌더링 할 때.. 2024. 10. 11.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