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act4 [Vite] 이미 배포 된 프로젝트 이미지만 수정하는 방법(코드 수정X) ✅ 참고Vite를 사용하여 React 프로젝트를 build 후 배포중인 상태에서 소스코드 수정 없이 이미지를 수정하는 방법입니다. 1. 수정 전 이미지 확인수정 전 이미지를 확인합니다. 현재 이미지는 파란색 React 로고입니다.2. 현재 배포중인 dist 폴더로 이동배포된 프론트 프로젝트가 Nginx 등과 연결된 폴더로 이동합니다.$ cd [dist 폴더]# 예시# $ cd /usr/share/nginx/dist/assets참고: Nginx를 통하여 배포중이라면 대부분의 이미지는 /usr/share/nginx/dist/assets 경로에 존재합니다.하지만 이미지를 public 폴더에서 관리한다면 /usr/share/nginx/dist/public 경로로 이동해 줍니다. 3. 수정 전 이미지명 확인v.. 2025. 3. 18. [JS] Uncaught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오류 해결 방법 ✅ 참고해당 에러 메시지를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JavaScript에서 const와 let의 차이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const와 let의 차이점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그림과 코드로 아주 쉽게 정리한 var, const, let의 차이점을 참고해 주세요. 🚨 Chrome 개발자 도구에서 발생한 에러 메시지Uncaught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에러 발생 이유const 키워드로 작성된 변수를 재할당 하기 때문에 발생한 메시지입니다.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재할당이 불가합니다.반면, var와 let으로 선언된 변수는 재할당이 가능합니다.재할당은 변수를 다시 선언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해결 방법1) const 키워드로 .. 2025. 2. 14. [ Spring ] @Autowired, @Resource, @Inject 차이점 아주 쉽게 정리 @Autowired란?Spring 실행 시점 의존 관계 주입을 위해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그렇기 때문에 Spring FrameWork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타입을 기준으로 의존 관계를 주입합니다. @Resource란?Java에서 만든 의존 관계 주입을 위해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이름을 기준으로 의존 관계 주입합니다. @Inject란?Java에서 만든 의존 관계 주입을 위해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타입을 기준으로 의존 관계를 주입합니다. ↔️ @Autowired @Resource @Inject 비교3가지의 어노테이션 모두 의존 관계 주입을 위한 어노테이션입니다. 하지만, @Autowired의 경우에는 Spring 어노테이션이며,@Resource, @Inject의 경우에는 Java 어노테.. 2024. 10. 16. [React] JSX란? 아주 쉽게 총 정리(+코드, 그림) 📄 JSX란?JavaScript에 HTML 태그를 끼얹은 문법JSX = JavaScript + HTMLHTML 태그 안에선 중괄호({})를 사용해서 JS를 쓸 수 있다.JavaScript의 공식 문법이 아니며, JavaScript의 확장 문법이다. 🖥️ 소스 코드로 이해하기const count = 1;const title = {count}번째 게시물다음 코드는 title 이라는 변수에 {count}번째 게시물을 선언한 코드입니다.즉, JavaScript 문법(const title)에 HTML 태그()를 끼얹은 JavaScript의 확장 문법입니다. 📄 JSX의 특징JSX에서 사용되는 태그의 속성 이름이 HTML과 조금 다름class -> classNamefor -> htmlForonclick ->.. 2024. 10.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