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rontend/JavaScript

[JS] Uncaught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오류 해결 방법

by 알기 쉬운 코딩 사전 2025. 2. 14.
반응형

✅  참고

해당 에러 메시지를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JavaScript에서 constlet의 차이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constlet의 차이점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그림과 코드로 아주 쉽게 정리한 var, const, let의 차이점을 참고해 주세요.

 


 

🚨 Chrome 개발자 도구에서 발생한 에러 메시지

Uncaught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에러 발생 이유

const 키워드로 작성된 변수를 재할당 하기 때문에 발생한 메시지입니다.

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재할당이 불가합니다.
반면, var와 let으로 선언된 변수는 재할당이 가능합니다.

재할당은 변수를 다시 선언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해결 방법

1) const 키워드로 작성된 변수의 키워드를 let이나 var로 변경합니다.
2) const 키워드로 작성된 변수의 재할당이 선언된 코드를 삭제합니다.

 

수정 전 코드

// 에러가 발생하는 수정 전 코드
const a = 10;
a = 20;

 

수정 코드

1) const 키워드로 작성된 변수의 키워드를 let으로 변경

// const a1 = 10; // const 키워드를 let으로 변경
let a1 = 10;
a1 = 20;

 

2) const 키워드로 작성된 변수의 재할당이 선언된 코드를 삭제

const a2 = 10;
// a2 = 20; //변수의 재할당 선언 코드 삭제

 

전체 코드

// 에러가 발생하는 수정 전 코드
// const a = 10;
// a = 20;

// const a1 = 10; // const 키워드를 let으로 변경
let a1 = 10;
a1 = 20;

const a2 = 10;
// a2 = 20; //변수의 재할당 선언 코드 삭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