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참고
해당 에러 메시지를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JavaScript에서 const와 let의 차이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const와 let의 차이점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그림과 코드로 아주 쉽게 정리한 var, const, let의 차이점을 참고해 주세요.
🚨 Chrome 개발자 도구에서 발생한 에러 메시지
Uncaught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에러 발생 이유
const 키워드로 작성된 변수를 재할당 하기 때문에 발생한 메시지입니다.
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재할당이 불가합니다.
반면, var와 let으로 선언된 변수는 재할당이 가능합니다.
재할당은 변수를 다시 선언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해결 방법
1) const 키워드로 작성된 변수의 키워드를 let이나 var로 변경합니다.
2) const 키워드로 작성된 변수의 재할당이 선언된 코드를 삭제합니다.
수정 전 코드
// 에러가 발생하는 수정 전 코드
const a = 10;
a = 20;
수정 코드
1) const 키워드로 작성된 변수의 키워드를 let으로 변경
// const a1 = 10; // const 키워드를 let으로 변경
let a1 = 10;
a1 = 20;
2) const 키워드로 작성된 변수의 재할당이 선언된 코드를 삭제
const a2 = 10;
// a2 = 20; //변수의 재할당 선언 코드 삭제
전체 코드
// 에러가 발생하는 수정 전 코드
// const a = 10;
// a = 20;
// const a1 = 10; // const 키워드를 let으로 변경
let a1 = 10;
a1 = 20;
const a2 = 10;
// a2 = 20; //변수의 재할당 선언 코드 삭제
반응형
'Frontend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변수와 상수(var, let, const) 총 정리(+그림&코드) (0) | 2025.02.14 |
---|---|
[JS] console 객체 총 정리(+그림&코드) (0) | 2025.02.14 |
[JS] HTML, CSS, JavaScript 총 정리(+그림&코드) (0) | 2025.02.13 |
[JS] Promise 동작 방식 : 아주 쉽게 그림으로 정리 (1) | 2024.10.21 |
[JS] Uncaught SyntaxError: Cannot use import statement outside a module 에러 해결 방법 (0) | 2024.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