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oot21 [Java] 객체(Object)란? 인스턴스(Instance)란? 아주 쉽게 정리(+코드) 이 글은 클래스(Class)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하지 않습니다. 클래스(Class)에 대해서는 아래에 설명해두었습니다.정말 알기 쉽게 정리한 클래스(Class)란? 다음 소스 코드를 통해 객체와 인스턴스에 대해서 이해하고 살펴봅시다. ClassStart1.javapublic class ClassStart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ungeobbang 붕어빵1 = new Bungeobbang(); 붕어빵1.재료 = "밀가루"; 붕어빵1.소스 = "팥"; Bungeobbang 붕어빵2 = new Bungeobbang(); 붕어빵2.재료 = "찹쌀"; 붕어빵2.소스 = "슈크.. 2024. 10. 16. [Java] 클래스(Class)란? 아주 쉽게 그림으로 정리(+코드) 이 글은 객체(Object)와 인스턴스(Instance)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하지 않습니다. 객체(Object)와 인스턴스(Instance)에 대해서는 아래에 설명해두었습니다.정말 알기 쉽게 정리한 객체란? 인스턴스란? 📄 클래스 (Class)란?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틀' 또는 설계도입니다.클래스는 객체가 가져야 할 속성(변수)과 기능(메서드)를 정의합니다.예를 들어 붕어빵이라는 클래스는 속성으로 재료, 소스를 가집니다. ❓ 붕어빵 틀과 붕어빵의 관계붕어빵 틀은 붕어빵이 아닙니다!이렇게 생긴 붕어빵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만드는 틀일 뿐입니다.실제 먹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실제 먹을 수 있는 팥 붕어빵을 객체 또는 인스턴스라 합니다. ❓ 자동차 설계도와 자동차자동차 설계도는 자동차가 .. 2024. 10. 16. [ Spring ] @Autowired, @Resource, @Inject 차이점 아주 쉽게 정리 @Autowired란?Spring 실행 시점 의존 관계 주입을 위해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그렇기 때문에 Spring FrameWork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타입을 기준으로 의존 관계를 주입합니다. @Resource란?Java에서 만든 의존 관계 주입을 위해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이름을 기준으로 의존 관계 주입합니다. @Inject란?Java에서 만든 의존 관계 주입을 위해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타입을 기준으로 의존 관계를 주입합니다. ↔️ @Autowired @Resource @Inject 비교3가지의 어노테이션 모두 의존 관계 주입을 위한 어노테이션입니다. 하지만, @Autowired의 경우에는 Spring 어노테이션이며,@Resource, @Inject의 경우에는 Java 어노테.. 2024. 10. 16. [Spring][Swagger] Request가 null로 전달될 때 해결 방법 🚨 Swagger Execute 버튼 클릭 시 발생하는 Spring Log 메시지2024-09-23 18:43:31 [http-nio-8080-exec-1] DEBUG - Request(username=null, age=null) ❓Request가 null로 전달되는 이유Spring의 @RequestBody 어노테이션이 아니라Swagger의 @ReqeustBody 어노테이션으로 import가 잘못 될 경우Spring이 HTTP Request의 요청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합니다.✅ 해결 방법import가 정상적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아래 코드를 참고해 주세요. import 문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Body; // 🟢imp.. 2024. 9. 23.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