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Java & Spring51

[Spring Security] WebSecurityConfiguration 총정리 서론 졸업 작품을 하던 도중 Spring Security 설정을 해주려고 하였습니다. 기존에 참고하고 있던 책과 강의들은 보통 WebSecurityConfigurationAdapter를 상속받아 Security Config를 설정해 주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Spring Framework Version 6.0.11 Spring Boot Version 3.1.2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라 WebSecurityConfiguration Class, .csrf().disable() 등의 메소드가 depracated 되었습니다. 개념적으로 Spring Security 부분을 처음 접하는 상황에서 Security Config 설정을 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 바램에서 해당 포스팅을 작성하였습니다. Depre.. 2023. 9. 12.
[Spring] 400 Bad Request 오류 해결 방법 (with Postman) 🚨 Postman send 버튼 클릭시 발생한 에러 메시지{ "timestamp": "2024-11-02T10:34:23.628+00:00", "status": 400, "error": "Bad Request", "path": "/test"}❓ 에러 발생 이유클라이언트와 서버에 잘못된 데이터 타입이 전송돼서 나타나는 오류 메시지입니다.해당 오류 메시지는 Spring(Servlet, Tomcat)이 출력하는 에러 메시지입니다.예를 들어 서버(Spring, Java)에서는 Reuqest를 int형 데이터로 받기로 설정하였지만,클라이언트에서는 String형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 나타나는 에러입니다. ✅ 해결 방법Server와 Client의 Request 데이터 타입을 통일시켜 줍니다.. 2023. 9. 5.
[Spring][Postman] Could not send request 오류 해결 방법 🚨 Postman send 버튼 클릭시 발생한 에러 메시지Could not send request Error ❓ 에러 발생 이유Server 즉, Spring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라서 나타나는 메시지입니다.참고: Spring의 에러일 경우에는 보통은 Json 형태로 에러 메시지가 출력됩니다.위와 같은 경우에는 Spring 에러가 아닌 Postman의 에러입니다. ✅ 해결 방법Spring을 실행시킵니다. 🌟 정상 응답 2023. 8. 24.
[Spiring] Origin 서버가 대상 리소스를 위한 현재의 representation을 찾지 못했거나, 오류 해결 방법 총 정리(+그림) ✅ 참고SpringBoot를 이용하고 내장 Tomcat을 사용중이라면,Run As→ Java Application으로 실행시키는 방법이 가장 빠르고 편리합니다.Eclipse가 Tomcat을 내부에서 관리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Eclipse가 관리하는 Tomcat과 Local Tomcat의 차이점에 대해서 모르신다면,🔗그림으로 아주 쉽게 정리한 Eclipse Tomcat과 Local Tomcat의 차이점을 참고해 주세요.참고로 Intellij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에러입니다. 🚨 Spring 실행시 발생한 에러 메시지Origin 서버가 대상 리소스를 위한 현재의 representation을 찾지 못했거나, 그것이 존재하는지를 밝히려 하지 않습니다. ❓ 에러 발생 이유해당 에러는 Ecli.. 2023. 8.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