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build3

[eclipse] Gradle 프로젝트 Project and External Dependencies 안뜰때 해결 방법 🚨 문제 상황eclipse에서 Gradle -> Refresh Gradle Project를 눌러도 아무런 반응이 없으며,Properties -> java build path -> libraries 에서 Project and External Dependencies가 나타나지 않고org.eclipse.buildship.core.gradleclasspathcontainer가 나타났습니다. ✅ 해결 방법Gradle 프로젝트 내에서 settings.gradle의 rootProject.name과 Project Explorer에서 프로젝트 폴더명을 동일하게 맞춰줍니다.아래 이미지를 참고해 주세요. ✅ 참고추가로 도움이 될만한 아티클 첨부 하겠습니다.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 2025. 3. 18.
[Vite] 이미 배포 된 프로젝트 이미지만 수정하는 방법(코드 수정X) ✅ 참고Vite를 사용하여 React 프로젝트를 build 후 배포중인 상태에서 소스코드 수정 없이 이미지를 수정하는 방법입니다. 1. 수정 전 이미지 확인수정 전 이미지를 확인합니다. 현재 이미지는 파란색 React 로고입니다.2. 현재 배포중인 dist 폴더로 이동배포된 프론트 프로젝트가 Nginx 등과 연결된 폴더로 이동합니다.$ cd [dist 폴더]# 예시# $ cd /usr/share/nginx/dist/assets참고: Nginx를 통하여 배포중이라면 대부분의 이미지는 /usr/share/nginx/dist/assets 경로에 존재합니다.하지만 이미지를 public 폴더에서 관리한다면 /usr/share/nginx/dist/public 경로로 이동해 줍니다. 3. 수정 전 이미지명 확인v.. 2025. 3. 18.
[Spring] Could not find build 에러 해결 방법 🚨 build 시 발생한 에러 메시지demo:main: Could not find org.thymeleaf.extras:thymeleaf-extras-springsecurity5:.Required by:project :Possible solution:- Declare repository providing the artifact, see the documentation at https://docs.gradle.org/current/userguide/declaring_repositories.html  ❓에러 발생 이유해라이브러리의 버전을 명시해 주지 않아서 build가 실패하며 발생한 에러 메시지입니다. ✅  해결 방법라이브러리의 버전을 명시해 주면 정상적으로 build가 진행됩니다.아래 수정된 build.. 2024. 4. 10.
반응형